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4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 301 302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 301 302 시작해보겠습니다. 영화에서 주인공 윤희는 강박적이며 이지적인 여성으로서 다이어트에 관한 글을 기고하며 생활하는 자유기고가입니다. 어린 시절 정육점을 하는 의붓 아버지에게 상습적으로 성폭행을 당했던 그녀는 고기와 섹스를 떠올리기만해도 의붓 아버지가 연상되어, 음식을 먹는 행위를 섹스와 같은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음식물이 자신의 몸으로 들어오는 것에 대한 극도의 혐오감을 드러냅니다. 이런 증세를 우리는 거식증 이라고 합니다. 그럼 거식증과 이의 반대인 폭식증이란 정확히 무엇일까요? 거식증 - 신경성 식욕 부진증이라고 불리며, 체중 증가에 대한 심각한 두려움이나 정신적인 상처로 인해 식사를 거부해 극도의 체중 감소를 유발하는 정신장애를 말한다. - 사춘기 또는 ..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 아이다호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 아이다호 시작해보겠습니다. 영화 에서 시도때도 없이 잠의 나락에 빠지는 청년 마이크는 어려서 어머니에게 버림받아 돌아갈 집도, 가족도, 변변한 직업도 없이 거리의 부랑자로 살아갑니다. 그가 술과 마약, 매춘으로 찌든 일상에서 유일하게 벗어나는 순간은 '기면 발작'으로 인해 깊은 잠에 빠진 상태, 그때마다 그는 따뜻한 어머니의 품에서 편히 잠드는 꿈을 꿉니다. 그럼 과연 영화의 주인공이 가지고 있는 질환인 기면 발작 이란 무엇일까요? 1. 일반인들의 보통 오후에 깜빡깜빡 졸음이 몰려오는 상태가 일상처럼 찾아오는 증세. 2. 아침에 잠에서 깼을 때 몸이 거의 마비되는 수면 바비 상태. 잠이 들 때나 깰즈음 환각을 보기도 함. 3. 의식이 깨어있는 상태에서 갑자기 팔다리 근..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 레인맨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 레인맨 정리해보겠습니다.^^ 영화 에서 자폐증을 앓고있는 형 레이먼드 역을 배우 더스틴호프만이 맡았고, 아버지의 유산을 가로채려는 동생과 자폐증을 앓고있는 형이 자동차 여행으로 가족애를 회복하는 과정이 담겨있어요. 은 자폐증이라는 생소한 질환을 대중들의 관심속으로 불러 일으켰고, 이 영화 이후 정부로 하여금 자폐증에 대해 훨씬 더 많은 연구비를 투자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어요. 자폐증은 심맹이라고도 불리며, '마음의 눈'을 뜨지 못해 사람들과 소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럼 자폐증이란 어떤 증상인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1. 보거나, 듣거나, 느낀 감각들을 적절히 이해하지 못해서 사회적 관계 형성이나 의사소통, 행동 등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뇌질환...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1.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개요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라는 책을 들어보셨는지요? 저는 예전에 사람의 심리에 대해서 관심이 많아서 대학교를 다니던 시절 심리학 수업을 수강해서 듣곤 했습니다. 심리라는 것은 뇌에서 작용하는 것이기에 사람의 뇌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볼까 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라는 책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 사서 보고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영화는 당연히 좋아했었기에 영화속 인물들의 뇌 안에서 스토리 전개에 필요한 부분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다고 생각하니 너무 흥미로워보였습니다. 그래서 주저없이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 를 구매하게 되었습니다. 이 포스팅을 다 읽으신다면 뇌과학자는 영화에서 인간을 본다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