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레이의 치료의 재료와 장단점, 주의사항

by 스티브의 치아 상식 2024. 10. 10.

오늘은 치과의사 스티브의 생생치아통신에서 인레이 치료 시 사용되는 주재료에 따른 각각의 장단점, 임시재료 장착후 주의사항 및 인레이 치료의 한계점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인레이 치료의 재료와 장단점

치과 보철물인 인레이의 재료는 크게 금, 레진, 세라믹으로 나뉘어집니다. 각 재료의 물리적인 성질에 따라 장점 및 단점이 존재합니다. 

인레이
인레이

첫 번째, 금을 주재료로 한 ‘골드 인레이’입니다. 금은 유연한 재료이므로 늘어나는 성질인 ‘연성’과 펴지는 성질인 ‘전성’이 있습니다. 골드 인레이를 장착하고 단단하거나 질긴 음식을 씹을 때, 금은 이런 유연한 성질로 인해 높은 강도를 지니기 때문에 구강 내에서 적응하기가 쉽습니다.

하지만 너무 질기거나 단단한 음식을 씹으면 금은 구멍이 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금의 색상이 심미적으로는 좋지 않기에, 웃을 때 보이는 작은 어금니나 앞쪽 치아 부분에는 예쁘게 보이지 않습니다. 한편 금은 열전도성이 높아서 차갑거나 뜨거운 음식에 쉽게 반응할 수 있기에 치료 후 시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현재 이런 이유로 금은 치과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고, 금을 재료로 한 골드 인레이 치료도 거의 하지 않는 추세입니다.

두번째, 복합 레진을 주재료로 한 ‘복합 레진 인레이’입니다. ‘복합’이라는 뜻은 한 가지가 아닌 여러 가지 성분이 섞였다는 것을 뜻합니다. 복합 레진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재료의 색이 치아색과 유사하여 심미적이라는 점입니다. 또한 재료 자체의 열전도성이 낮아서 온도 차이에 쉽게 민감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복합 레진이라는 재료는 강한 힘에 탈락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재료의 두께가 확보가 되어야하므로 치아를 어느 정도 다듬어야 합니다. 하지만 치아를 충분히 다듬으면 시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편 예전에 비해 복합 레진 인레이는 재료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는 미세 물질을 첨가하여 강한 힘에도 견딜 수 있도록 보강이 되었기에, 사용시 불편함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세 번째, 세라믹을 주재료로 한 ‘세라믹 인레이’입니다. 세라믹은 ‘도재’를 뜻합니다. 앞에서 언급했던 복합 레진 인레이처럼 세라믹 인레이는 치아색과 유사하여 심미적입니다. 레진 인레이와 비교 시 더 치아색과 유사하게 제작할 수 있고, 재료의 특성상 변색의 가능성이 있는 복합 레진 인레이와는 달리 변색의 우려도 없습니다.

하지만 골드 인레이처럼 늘어나거나 펴지는 성질이 없어서 강한 힘이 가해졌을시 깨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서는 보철물이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도록 만들어야 하고, 이를 위해 치아를 상대적으로 좀 더 다듬어야 합니다. 또한 골드 인레이과 복합레진 인레이보다 보철물과 치아 사이의 경계선에의 적합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인레이 치료후 임시재료 장착후 주의 사항

 
일전에 인레이 치료과정에 대한 포스팅에서 말씀드렸듯이, 인레이 치료는 충치를 제거하면서 와동을 형성한 후 인상재를 이용해서 본을 뜨는 과정을 진행하게 됩니다. 참고로 ‘와동’이란 충치를 제거한 후 인레이 보철물 모양을 만드는 치료과정입니다. 본을 뜬 후 기공소에서 인레이 보철물을 제작해서 와야 하고 그전까지 와동 내부에 임시재료를 메꾸게 됩니다.

임시 재료는 광중합이라는 과정을 통해 와동 내부에 단단하게 메꿔지게 됩니다. 하지만 임시 재료는 완전한 보철물이 아니므로 끈적거리거나 딱딱한 음식을 먹다가 쉽게 탈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양치질을 하는 과정중에 탈락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끈적거리거나 딱딱한 음식을 드시지 말도록 권고드립니다.


인레이 치료의 한계점

모든 인레이 치료는 주재료에 상관없이 치아를 다듬어서 만들기 때문에 치아가 시릴 수 있습니다. 이는 치아 내부에 신경이 있기 때문에 치아를 다듬으면 외부와 신경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져 차거나 뜨거운 자극에 반응을 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것입니다. 물론 치료 과정중에 치아가 시리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긴 하지만, 계속 불편한 증상이 반복되면 신경치료를 하고 크라운 보철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그래서 인레이 치료는 항상 신경치료의 가능성을 동반하게 되는 치료입니다.

또한 모든 보철물이 그렇듯이 치아에 빈틈없이 보철물이 장착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 모든 보철물 하방으로 충치가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레이 치료도 시간이 지나서 보철물 하방으로 충치가 생기면 대부분 신경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상으로 인레이 치료 시 사용되는 주재료에 따른 각각의 장단점, 임시재료 장착후 주의사항 및 인레이 치료의 한계점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면서, 치과의사 스티브의 생생치아통신 다음에 유용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